NXG 코인은 발행된 지 얼마 안 되는 신생 코인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인기가 별로 없네요. 어쨌거나 공부용으로는 싼 맛에 구매해서 설치해 보기는 좋습니다(공부용으로만 구매하세요...비추입니다...). 이 코인은 DSR 코인보다는 쉽습니다.

일단 전체 과정을 다시 한번 살펴볼께요.

1. 국내 거래소에 원화 입금

: 코인 구매에 필요한 비트 코인을 구매할 정도의 금액이면 됨

2. 국내 거래소에서 BTC 구매:

대부분 코인을 직접 원화로 구매할 수 없기 때문에 일단은 코인 구매를 위해 대표 코인인 비트 코인을 구매함

3. 해외거래소 가입:

코인을 판매하는 해외 거래소에 가입(코인이 내가 가입한 거래소가 아닌 다른 거래소인 경우)

4. 해외거래소 입금계좌 확인:

해외 거래서의 입금 계좌 확인

5. 해외거래소에 입금계좌에 BTC 전송:

마스터노드 서버 구축에 필요한 만큼만 전송

6. 개인지갑 설치:

코인 홈페이지에서 QT 개인지갑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함

7. 개인지갑 Sync:

블록체인 데이터 Sync 수행(실행 상태 그냥 두면 됨)

8. 개인지갑 대표 입금계좌 및 마스터노드용 계좌 추가:

개인지갑에 대표 입금 계좌와 마스터노드용 계좌를 생성함

9. 해외거래소에서 코인 구매:

마스터노드 서버 구축에 필요한 만큼만 코인 구매(수수료를 위하여 약간의 여유를 둠)

10. 해외거래소에서 구매한 코인 개인지갑 대표 입금계좌로 전송

11. 개인지갑 대표 입금계좌에서 마스터노드용 계좌로 전송

12. masternode Private Key와 Transaction ID / Index 생성

: masternode genkey, masternode outputs 명령 수행

13. 개인지갑 환경 설정

: masternode.conf 파일 설정

14. 마스터노드 서버 설치

: 가상 임대 서버에 마스터노드 서버 설치

15. 환경설정:

마스터노드 서버 환경 설정

16. 마스터노드 서버 시작:

서버 시작

17. 서버 상태 확인:

정상 수행 중인지 확인

코인 정보를 볼까요.

Graviex.net에서만 거래가 되나 보네요(실제로는 더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한 줄씩 잘 살펴보세요... 자주 보다 보면 보입니다.

마스터노드 구축 시 필요한 필수 코인 수가 5,000코인에 0.81달러입니다. 엄청 싸죠...

수익이 음...1년에 6.7달러면... 물론 마스터노드 1대당 수익이긴 해도... 좀...

가상 서버 1달 임대료가 약 5달러인데 1년이면 60달러가 나오겠죠. 그런 의미에서 산술적으로는 엄청난 손해입니다. 들어온 코인을 다시 마스터노드 서버로 설치하고 해도, 가상서버 1대에 무한정 설치할 수 없으니 결국 가상서버를 추가 임대해야 하고... 뭐 그럼 또 마이너스...물론 가상서버 1대 당 평균적으로 마스터노드 약 5대를 설치하니까 약간은 만회되지만 그래도 코인 가격이 엄청 오르지 않는 한은 수익은 기대 이하입니다.

하여간 공부를 한다는데 의미를 두고 설치를 한번 해보죠. 일단은 전체적인 과정 중 코인을 구매해서 지갑에 넣고 하는 위의 모든 과정은 생략하겠습니다. 새로운 코인을 구매해서 처음 설치하는 경우라면 위 과정이 모두 필요하겠지만 여기서는 이미 구매한 코인을 추가하는 것이므로 굳이 다른 설명이 필요 없습니다.

여기서는 이 코인을 구매해서 이미 여러 대 설치 후 보상이 들어온 경우를 상대로 이후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필요한 코인이 준비되면 설치는 새로운 가상서버에 다시 해야 합니다.

현재 2대의 서버가 실행중입니다. 가상서버는 모두 다르고요. ENABLED 상태로 잘 동작 중이네요.

보상은 매일 노드마다 들어옵니다.

현재 마스터노드는 2대이고, 추가 가능한 코인이 모두 모였습니다. 한대 더 추가가 가능하네요.

새로운 마스터노드용 주소 생성

일단 메뉴에서 [파일]-[받는 주소..] 클릭해서 새로운 마스터노드용 주소를 생성합니다.

Alias명(라벨)을 입력하고 OK를 클릭하면 새로운 주소가 생성됩니다.

설치할 주소(mn03)를 클릭 후 주소를 복사해 놓습니다(복사 메뉴 사용).

새로운 주소에 정확한 코인 전송

이제 이 주소에 마스터노드 필요 코인만큼 전송해야 합니다. 개인지갑의 코인들 중 정확히 5,000코인을 이 주소에 전송합니다.

"전송" 메뉴를 클릭하고 "코인 설정 열기"를 클릭해 봅니다. 이 메뉴가 안 보이면 [설정]-[옵션]을 클릭하여 "코인 제어 기능 사용"을 체크합니다.

현재 이 지갑에 있는 코인 목록이 나타나는데 이전 마스터노드 주소인 경우 잠금 상태가 되어 있어 현재는 사용 불가입니다. 나머지들 중 5000코인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모두선택]하고 OK를 클릭하여 화면을 닫습니다.

지불대상에 이전에 복사한 주소를 붙여 넣으면 라벨은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현재 선택한 코인들 중에서 5,000코인만 금액에 입력한 후 [전송]을 클릭합니다.

잠금을 해제해 줍니다(앞에서 비밀번호 설정한 거 잊지 않으셨죠? 잊으면 큰일납니다).

OK를 클릭하면 전송 확인 창이 나타납니다. Yes를 클릭하면 전송됩니다. 즉 개인지갑 내의 다른 주소에서 마스터노드 주소로 전송하는 것입니다.

[트랜잭션] 메뉴에서 방금 전송한 목록의 맨 앞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아래와 같이 확인 상태가 표시됩니다. 지정한 만큼 확인이 되어야 사용 가능합니다.

전송 확인(이것이 실제로 코인의 흐름을 기록하고 정합성를 체크하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과정이 되어야 하나의 블럭이 추가되는 것이죠. 따라서 이 과정이 중요한 만큼 시간도 많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이 모두 끝날 때까지 기다리세요.

마스터노드 설정 파일에 새 노드 추가(가상서버 IP Address 확인)

먼저 가상서버의 IP Address를 확인합니다. 이전에 임대한 서버가 있으면 사용하시고 없으면 임대하세요.

저는 테스트로 사용하고 있는 서버를 사용하겠습니다. 이미 몇 개의 코인이 설치되어 있구요(돈되는 코인들은 아닙니다. 이전에 테스트로 공부하면 서 이것저것 설치해 본 것들이 아직 남아 있습니다. 혹시나 대박이 날까 싶어 팔지도 못하고...ㅋㅋㅋ).

이 서버의 경우 df -h와 free -h 명령을 수행해보면 아직 디스크 여유가 있고, 가상 메모리 덕에 아직 추가할 여분이 있습니다. 제가 테스트를 해 본 바에 의하면 메모리는 디스크만 여유가 있으면 크게 상관이 없으나 디스크는 블럭 데이터가 계속 늘어나기 때문에 어느 정보 여유가 있어야 합니다(한 VPS 서버에 노드를 약 17대까지 설치해 봤는데 메모리를 작게 사용하는 코인인 경우였습니다).

마스터노드 설정 파일에 새 노드 추가(Private Key 생성)

[도구] 메뉴에서 [디버그 콘솔]을 실행합니다. 그리고 명령을 입력하세요.

masternode genkey

키가 생성되면 잘 기록해 둡니다.

마스터노드 설정 파일에 새 노드 추가(TXID와 INDEX 확인)

"전송"의 "코인 설정 열기"를 클릭하세요. 거기서 현재 추가한 노드 이름을 선택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TXID(트랜잭션 ID 복사)를 복사할 수 있습니다. 이것도 잘 기록해 둡니다.

이렇게 하는 것이 주소와 TXID의 연결성을 잃지 않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이게 잘못되면 마스터노드 설정도 꼬이고 그러면 보상이 정상적으로 안 들어올 수도 있습니다. 이 방법 말고도 트랜잭션에서 확인을 거칠 때 목록을 더블클릭하면 트랜잭션 ID가 있으며 동일한 값입니다. 코인에 따라 출력 인덱스가 여기에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고 INDEX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INDEX 값은 뒤에서 확인합니다.

다시 [도구] 메뉴에서 [디버그 콘솔]을 실행합니다. 그리고 명령을 입력하세요.

masternode outputs

위에서 확인한 TXID와 동일한 것을 찾아 그것의 INDEX(outputidx) 값을 확인하고 기록합니다.

마스터노드 설정 파일에 새 노드 추가

이제 모든 정보가 확인되었습니다. 메뉴에서 마스터노드 구성 파일을 열고 형식에 맞게 입력해 줍니다.

저장 후 개인지갑 프로그램은 종료해 둡니다. 종료하는 이유는 현재 마스터노드로 인정 받은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새로 생성한 주소로 Staking 보상이 들어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정확한 코인 수가 맞지 않아서 새로 작업을 해야 합니다. 귀찮은 일이죠.

추가 서버 설치

이제 가상서버에 서버를 설치합니다.

일단 설치 가이드를 찾아야 하는데 이 코인의 경우는 홈페이지에 없고 Github에 있습니다.

아래 URL로 들어가셔서 "ngx-setup" 링크를 클릭합니다.

- https://github.com/nxg-crypto

내용을 보면 앞에서 설명한 과장도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필요한 부분은 VPS 서버 설치 쉘 스크립트 부분입니다.

중간에 아래 내용이 있습니다.

# cd && sudo apt-get update -y &>/dev/null && sudo apt-get update -y &>/dev/null && sudo apt-get install p7zip-full -y &>/dev/null && sudo apt-get -y install git &>/dev/null

# sudo git clone https://github.com/nxg-crypto/nxg-setup &>/dev/null && cd nxg-setup/ &>/dev/null

# sudo bash install.sh && cd && rm -r nxg-setup/

간단히 설명하면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한 후 마스터노드 서버 설치 프로그램도 다운받아 쉘 프로그램(install.sh)을 실행하는 것입니다.

세 부분으로 되어 있으니 한 부분씩 복사해서 붙여 넣어 실행해 줍니다.

세 번째 부분을 붙여 넣고 Enter를 누르면 Private Key를 입력하라고 표시됩니다. 앞에서 생성한 Private Key를 복사해서 붙여 넣고 Enter키를 눌러 줍니다.

설치가 끝나면 아래와 같이 표시됩니다.

top 명령으로 실행 중인가 확인해보죠. nodexchanged(NXG)라는 프로세스가 보입니다.

.nodexchange 라는 폴더가 생성되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명령을 입력하여 설정 파일 내용을 확인해 봅니다.

# cd .nodexchange

# nano nodexchange.conf

모든 설정이 정상입니다. Ctrl-X를 입력하여 종료합니다.

이제 방화벽을 오픈해 줍니다(코인마다 사용하는 포트가 다릅니다).

# sudo ufw allow 28320/tcp

Sync 상태를 확인해 봅니다.

# nodexchange-cli getblockcount

Sync가 안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마스터노드 온라인 사이트의 코인 정보 사이트로 가 addnode 목록을 복사해 와서 코인 설정 파일이 넣어 줘야합니다(DSR 코인 때 설명함).

아래 명령을 입력하고 맨 아래 추가해 줍니다.

# nano nodexchange.conf

Ctrl-X 클릭 후 "Y" 입력하여 Enter로 종료합니다.

서버를 종료 후 다시 시작해 줘야 반영됩니다.

# nodexchange-cli stop

# nodexchange-cli -daemon

약간 기다리면 Sync를 시작됩니다.

# nodexchange-cli getblockcount​

Sync 상태를 확인합니다.

# nodexchange-cli mnsync status

아직 Sync가 안되었습니다.

마스터노드 서버 상태를 한번 볼까요.

# nodexchange-cli masternode status​

Sync 중이니 "Node just stared, not yet activated"라고 표시됩니다.

개인지갑에서 서버 시작

모든 서버 Sync가 끝나면 개인지갑을 다시 시작해 줍니다.

서버를 시작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화면에서 시작하는 것이도, 다른 두 개는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다만 코인에 따라 명령이 없는 경우도 있으니 가능한 방법을 사용하면 되겠지요.

첫 번째 방법은 "마스터노드" 메뉴에서 목록의 MISSING이라고 표시되는 노드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별명 시작"을 클릭하거나, 노드를 선택하고 아래의 "별명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시작됩니다.

그런데 일부 코인의 경우 위와 같이 오류가 발생하고 실행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다음 방법인 명령을 사용합니다.

[도구]-[디버그 콘솔]을 실행하고 아래 명령을 입력합니다(맨 마지막 값만 현재 노드명으로 입력하면 됨).

startmasternode alias 0 mn03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면 상태가 "successful"로 표시됩니다.

상태도 ENABLED로 변경이 됐습니다.

하지만 현재 위의 상태 정보는 가짜입니다(조금 있으면 다시 MISSING 상태로 돌아갑니다. 개인지갑에서 서버 실행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시간차 때문에 정상적인 상태를 못 가져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정확한 것은 서버에서 확인이 필요합니다).

디버그 콘솔에서 아래 명령을 입력해봅니다.

masternode status

아직 마스터노드가 아니라고 에러가 뜹니다(다른 코인은 이 명령이 잘 수행이 되는데 이 코인은 이 명령이 잘 수행이 안됩니다. 항상 오류로 표시되네요...버그인듯). 아직 Sync 중인 경우만 오류로 표시됩니다.

masternode list-conf 명령을 입력해도 아직 시작이 안 되어 있다고 표시됩니다(이 명령을 이용하면 되겠네요).

Sync가 끝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ENABLED로 표시되네요.

서버에서 다시 확인해 봅니다.

# nodexchange-cli masternode status

정상 시작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서버에서 사용한 몇 가지 명령을 알고 계시죠. 대표적인 명령인데 이것들 이외에는 거의 사용을 안 합니다.

getblockcount

getinfo

mnsync status

masternode status

masternode list-conf

이 명령들도 디버그 콘솔에서 그대로 사용됩니다. 입력해 보세요.

그리고 더 많은 명령을 알고 싶으시면 디버그 콘솔에 help를 입력해보세요.

서버를 시작하는 마지막 명령은 아래와 같은 명령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코인들에게는 필요가 없구요. 일부 코인들이 사용합니다.

masternode start-alias mn03

맨 마지막이 노드명입니다. 참고하세요.

이렇게 해서 NXG 코인의 설치가 끝났습니다. 내일이면 보상이 들어오겠네요.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