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임대 서버(VPS) 서버에 접근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telnet이라고 부르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Putty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접근합니다. 이런 Tool은 많이 있으니 자신이 편한 것을 사용하시면 되구요. SSH라는 보안 접근이 가능한 Putty를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Putty는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으면 되구요. 현재 사용 중인 OS에 맞는 버전을 받으시면 됩니다. 보통은 윈도우즈용 64비트 혹은 32비트를 사용하겠지요.

- URL: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가 끝나면 다음과 같이 실행합니다. IP Address를 입력하고 Open을 클릭합니다(Port는 SSH임).

보안 경고 창이 뜨면 그냥 "예"를 눌러주세요.

계정은 기본적으로 root를 사용하고, 메일로 받은 비밀번호를 먼저 입력합니다. 아, 비밀번호가 너무 복잡하다구요? 그럼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붙여 넣는 방법은 화면 아무 영역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면 화면에는 보이지 않지만 붙여넣기가 됩니다. 그리고 최초 접근 시는 반드시 비밀번호를 변경해야 하므로 이전 비밀번호를 같은 방법으로 붙여 넣으시고 새로운 비밀번호를 2번 입력해 줍니다(2번 연속이 아니라 입력과 확인 입력입니다...O.O;;;).

이제 서버에 접속했습니다. 정겨운 화면이 보이지요? 그냥 DOS 창입니다(DOS를 모르시는 분들에게는 그냥 까만 화면....ㅋ).

일단 VPS 서버 사양이 싼 걸 선택하다 보니 좀 부족합니다. 특히 메모리 부분이 좀 부죽한데, 이것은 SWAP이라는 가상의 메모리를 설정하여 해결하도록 합니다.

CPU나 네트워크 들은 그냥 냅두시고요. 별문제 없습니다.

현재 서버 상태를 한번 보시죠. 까만 화면(telnet 콘솔 화면)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눌러주세요.

# top

이 명령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혹은 프로그램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입니다. 많이 사용되니 익혀 두세요.

현재 상태를 보면 사용 가능 실제 메모리와 Swap 메모리 상태가 표시됩니다. 당연히 0입니다. 이것을 추가해 주어야 합니다. VPS 서버 추가 후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일입니다.

VPS 서버에 메모리를 추가할 때 얼마를 추가해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는데 이것은 한 대의 서버에 몇 개의 마스터노드를 설치할 것인가에 달려 있습니다. 메모리가 부족하면 마스터노드 서버가 실행하다 죽거나 하는 일이 발생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설정 후 서버 상태에 따라 추가를 해주면 됩니다.

일단 네이버나 구글 검색을 해보시면 리눅스에 Swap 메모리 추가하는 방법이 많이 나와 있습니다. 그걸 참고하시구요. 귀찮으시면 그냥 아래 명령들을 입력해 주세요.

Swap 메모리 추가

알단은 2GB를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 cd

# sudo dd if=/dev/zero of=swapfile bs=1M count=2000

# sudo mkswap swapfile

# sudo swapon swapfile

위 4줄을 설명하면...

. 현재 로그인 한 계정(root)의 루트 영역으로 이동하고

. 관리자 권한으로 2GB용량의 파일을 생성해 줍니다.

. 그리고 이를 Swap영역으로 사용하도록 설정하고

. 실제 사용이 되도록 활성화해 줍니다.

이러면 일단 Swap이 생겼으나 이것은 현재 시점에서만 활성화가 되므로 혹시 서버가 재부팅되더라도 동일한 환경이 되도록 하려면 다음 과정을 더 해주어야 합니다.

# sudo nano /etc/fstab

 

이렇게 입력하면 텍스트 편집기가 나타납니다. 내용 중에 적당한 위치(맨 아래)에 아래 내용을 입력하거나 붙여 넣어 줍니다.

/root/swapfile none swap sw 0 0

Ctrl-X 입력 후 'Y' 입력 후 Enter를 입력하면 저장됩니다.

몇 가지 명령들이 나왔는데 상세히 아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냥 참고만 해 두세요.

상태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 ls -ail

위 명령을 입력해 보세요. 파일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여기서 나중에 영역을 추가할 경우 수정되어야 하는 부분은 Swap 파일명과 크기입니다.

# cd

# sudo dd if=/dev/zero of=/swapfile2 bs=1M count=3000

# sudo mkswap /swapfile2

# sudo swapon /swapfile2

# sudo nano /etc/fstab

/swapfile2 none swap sw 0 0

실제로는 파일이 생성되는 정확한 위치(위의 명령의 경우는 / -> root 폴더를 지정한 것임)를 지정해 주는 것이 좋겠지요. 위 명령을 모두 실행합니다.

root 폴더로 이동 후 다시 아래 명령을 입력해 보세요. 3GB 짜리가 생성되어 있습니다.

# cd /

# ls -ail

그리고 위에서 배운 top 명령을 입력해보세요. 현재 추가한 5GB가 Swap 메모리로 잡혀 있습니다.

[주] ls 명령은 구세대의 DOS나 윈도우즈의 커맨드 창에서 사용하는 dir 명령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파일과 폴더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입니다. 뒤에 오는 옵션은 너무 많지만 그냥 -ail만 아시면 됩니다(자세한것은 네이버에서 물어보시길..).

cd 명령은 아시겠죠? 특정 폴더로 이동하는 명령(change directory)입니다.

참고사항

여기서는 설명을 하지 않겠지만 한가지 설정이 더 필요합니다. 한대의 VPS 서버에는 여러 가지 코인의 마스터노드 서버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사양이 되면 많이 설치하겠지요. DASH, DSR, PIVX 등등을 같이 설치할 수 있지요. 몇 가지를 설치할 것인지는 서버 사양을 확인해 보면 됩니다.

일단 top 명령으로 메모리 사용 상태를 확인하구요(아니면 free -h 라는 명령을 입력해 보아도 됩니다)

# free -h

현재 메모리 사용 상태가 표시됩니다. 그리고 디스크 사용 상태를 확인합니다.

# df -h

메모리는 Swap 영역이 거의 다 남았고, 디스크는 25GB 중 19GB가 남았습니다.

이런 식으로 확인을 해 가면 서 추가 설치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추가 설정을 해야 하는 부분은 동일한 코인을 한대의 VPS 서버에 여러 대 설치하는 경우입니다. 관리상의 이유로 혹은 빠른 설치를 위하여 이렇게 하는 것인데 VPS 서버 1대에는 기본적으로 IP가 1개만 할당됩니다. 마스터노드 서버를 설치하려면 IP를 할당해야 하는데 같은 IP를 여러 대가 같이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충돌이 나지요.

(서버 사용량과 관련해서는 코인이 다르거나 같거나 같은 상황이지요).

그럴 경우 유용한 것이 IPv6라는 놈입니다. 기본적으로 할당되는 IP는 IPv4입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16개의 IP를 할당받을 수 있는데 이것이 최초 서버 생성 시 체크하라고 말씀드린 IPv6 설정입니다. 이게 최초 서버 추가 시 설정을 해야 편합니다. 왜냐하면 나중에 추가로 설정을 하려면 서버를 재부팅해야 하는데 다른 마스터노드가 실행 중인 상태에서는 재부팅은 어려운 선택입니다.

한대의 VPS 서버에 동일한 코인의 여러 대의 마스터노드 서버를 설치하려면 IPv6에 대한 설정이 좀 필요합니다. 기본적으로는 최초 1대만 사용 가능합니다.

그러면 설정 전에는 이론적으로는 IPv4용 한대와 IPv6용 한 대를 설치할 수 있겠지요(물론 IPv6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도 있기는 한데 이것은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그 방법은 머리가 좀 아프거든요).

이 설정은 나중에 설명드릴게요. 일단은 한 대를 설치하는 것도 머리 아픕니다.

일단 여기까지 하고 다음에는 실제 DSR 코인 마스터노드 서버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 드릴께요.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