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구매

해외 거래소에 입금된 BTC를 이용해서 현재 구축하려는 코인을 구매합니다. 현재 예를 들고 있는 DSR 코인의 경우 하나의 마스터노드 서버를 구축하려면 필요한 코인이 2000개입니다. 금액으로는 현재 약 3.58달러이네요.

주식을 해 보셨으면 아시겠지만 사고파는 일은 눈치입니다. 이 작업이 어쩌면 가장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 일 수도 있겠네요.

필요한 코인 수 보다 조금 많게(수수료를 확인해보고 함께 구매하면 되지만 어차피 더 구매한다고 문제 될 것은 없으니 넉넉히 구매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보통 1005개나 1010개를 구매합니다.

QT 개인지갑에 코인 전송

구매가 끝나면 고매한 코인을 개인지갑으로 전송해야 합니다. QT 개인지갑에 생성해 둔 대표 주소를 복사해 옵니다.

해외 거래소에서 [Balances] 메뉴 중 [Withdraw DSR]를 찾아 클릭하고 위에서 복사한 주소를 입금 주소에 입력하고 코인 수를 입력합니다.

전송 시는 거래소의 비밀번호가 필요하거나 OTP 설정을 한 경우는 2FA 인증 비밀번호가 필요합니다. 또는 메일을 통한 인증 과정이 더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Submit Withdraw]를 수행합니다. 모든 전송 과정이 완료되면 개인 지갑에 코인이 들어옵니다.

[주의사항]

위에서 보면 주소들이 잘 안 보이게 해 두었습니다. 다른 사람들도 다 이렇게 하길래...가 아니구요. 사실 이 주소만으로는 할 수 있는 게 없겠지만 가능하면 외부에 공개하는 것은 안 좋겠죠. 혹시 해커가 이용할 수도 있으니까요.

필요 코인을 마스터노드 주소로 전송

자 이제 코인이 들어왔으니 마스터노드 서버 구축을 위한 작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대표 주소에 받은 코인을 이제 마스터노드용으로 생성한 주소로 전송합니다. 이때 반드시 필요한 코인과 동일한 코인만 전송해야 합니다.

전송 후 처리 결과는 [Send] 메뉴에서 [Inputs...]를 통해 가능합니다.

이제 QT 개인지갑은 종료해 둡니다. 서버를 설치 후 다시 사용됩니다.

다음에는 마스터노드 서버 설치를 위한 가상서버 임대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마스터노드 구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VPS 서버 접근 방법  (0) 2020.11.29
9.가상서버 임대는?  (0) 2020.11.29
7.QT 개인지갑 설정하기  (0) 2020.11.29
6.QT 개인지갑을 설치하자  (0) 2020.11.29
5.코인을 구매하는 방법은?  (1) 2020.11.29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