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거래소에서는 아무리 메뉴를 뒤져봐도 입/출금을 위한 메뉴가 보이지 않습니다. 물론 거래소가 설립된 나라의 화폐를 이용한 거래는 거래소에 따라 가능할지는 몰라도(아직 본 기억은 없네요) 원화를 입금하여 구매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대부분의 외국 거래소에서는 마스터노드 코인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코인을 이용하여 구매합니다. 그 기준이 되는 코인이 BTC(비트코인), ETH(이더리움)와 같은 코인들입니다. 보통은 BTC(비트코인)를 이용하게 되죠.
BTC은 어디서 구매해야 할까요? 원화를 이용해서 BTC을 구매하려면 결국은 한국 거래소를 이용해야 합니다. 외국 거래소에서는 비트코인을 이용해 거래가 가능하므로 일단은 한국 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을 필요한 만큼 구매하고, 구매한 비트코인을 이용해 외국 거래소에서 원하는 코인을 다시 구매해야 하는 것입니다.
국내에 있는 코인 거래소는 대표적으로 빗썸, 고팍스, 업비트 ,코인원 등이 있습니다.
일단 국내 거래소에 가입을 해야 하는데 가입 시 연계를 위한 은행 계좌 정보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고팍스의 경우는 기업은행과 연계되어야 하고, 빗썸의 경우는 농협은행과 연계되어야 합니다. 은행 가입 시 비대면 계좌 개설이 가능하니 네이버 검색을 통해 방법을 확인 후 바로 계좌를 개설하시면 됩니다.
거래소 회원 가입
여기서는 고팍스를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일단 아래 URL로 접속해서 회원 가입을 합니다.
- URL: https://www.gopax.co.kr/
가입 절차에 따라 가입을 하시면 되는데 인증 절차에 따라 송수신 가능한 금액에 차이가 있습니다.
계좌 등록
기업 은행에 계좌 개설 후 입금을 위한 계좌를 등록합니다.
원화 입금
계좌 등록이 끝나면 필요한 만큼의 원화를 입금합니다. 고팍스의 경우 에스크로 이체를 이용하므로 절차에 따라 입금을 하면 고팍스 계좌에 표시됩니다.
입금된 원화를 이용하여 거래소에서 마스터노드 코인을 구매 가능한 만큼의 비트 코인을 구매합니다(거래소에서 거래 시 항상 약간의 비용이 지불되므로 고려해서 구매합니다. 또한 구매 금액과 판매 금액 간의 차이가 큰 경우가 있어 원하는 금액보다 비싸게 사야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미리 거래소 가격을 알아보고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비트 코인 구매
필요한 만큼 비트 코인을 구매합니다.
참고로 비트 코인의 가격이 비싸지요? 현재 기준으로는 450만원 정도인데 코인을 1개 단위로 구매하지 않아도 됩니다(0.0000001 코인을 1사토시라고 부르며 이것을 일종의 단위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외국 거래소에 가입해야 합니다. DSR 코인의 경우 아래와 같이 세 군데에서 거래가 가능하네요.
참고로 아래와 같이 현재 DSR 코인의 수익을 보면 1년 수익이 약 5달러입니다. 1년에 5달러를 벌려고 이 코인을 구매하는 걸까요? 이것은 마스터노드 당 수익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마스터노드가 많아지면 그만큼 수익이 늘어나겠지요. 그리고 코인 시장 상황이 좋아지만 코인 자체 가격도 올라가니 그때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겠죠(지금은 코인당 0.0036달러 정도이지만 작년 초에는 최대 5달러까지 했네요).
DSR 코인을 구매하기 위하여 코인익스체인지 거래소를 이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외 거래소 가입
아래와 같은 URL을 클릭하여 거래소로 이동 후 가입을 하시기 바랍니다.
- URL: https://www.coinexchange.io/
[Balances] 메뉴를 찾아 BTC 코인을 검색하고 입금을 위하여 [Actions] 메뉴를 클릭합니다.
[Deposit BTC] 메뉴를 클릭하면 입금 주소가 영숫자로 표시되고 동시에 QR코드로도 표시됩니다(QR 코드는 앱 등에서 사용). 한국 거래소에서 외국 거래소로 BTC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이 주소가 필요하며 틀리지 않게 기록해 둡니다.
[극히 조심 - 주의 사항]
모든 코인은 코인이 사용하는 주소마다 내부적인 알고리즘으로 생성이 되므로 다른 코인 주소로는 입금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동일한 코인끼리만 사용하셔야 하고, 만약 잘못 송금한 경우 코인 자체를 영원히 찾지 못할 수도 있으니 조심 또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한국 거래소에 구매해 둔 BTC를 복사해 둔 주소로 전송해야 합니다.
한국 거래소에 출금주소 등록
먼저 고팍스로 로그인을 하고 BTC 출금 주소를 등록합니다.
전송할 금액을 입력하여 전송합니다.
거래소에 따라 코인 송수신 시 메일 인증이나 OTP 인증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코인은 일정한 규칙에 의하여 승인을 받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해외 거래소 계좌에 표시됩니다.
만약 며칠이 지나도 계좌에 표시가 되지 않으면 해외 거래소에 확인 요청을 하면 됩니다. 그때 발송 시 표시된(혹은 거래 내역 정보 상의) txid 값이 중요하며 이 값을 보내면 정상적인 전송이면 확인을 해 줍니다.
이 과정까지 완료되어야 마스터노드 서버 설치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현재 선택된 DSR 코인의 경우 사실 좀 설치가 까다로운 코인에 속합니다(명령을 한 줄씩 입력해 주어야 하는데다 센티넬이라는 프로그램을 함께 사용해야 함). 저도 최초 설치한 코인인데 한참을 헤맨 기억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코인을 설치해보면 다른 코인도 비슷하거나 쉬운 편이므로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다음 게시물에서는 실제 마스터노드 서버 설치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마스터노드 구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7.QT 개인지갑 설정하기 (0) | 2020.11.29 |
---|---|
6.QT 개인지갑을 설치하자 (0) | 2020.11.29 |
4.마스터노드 온라인 사이트 이용 (0) | 2020.11.29 |
3.가상화폐(코인)는 어디서 사야 하나? (0) | 2020.11.29 |
2.그럼 왜 마스터노드 서버 구축이 어려운가? (0) | 2020.11.29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