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노드 서버 구축의 대략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국내 거래소에 원화 입금
: 마스터노드 코인 구매에 필요한 비트 코인을 구매할 정도의 금액이면 됩니다. 구매 및 판매 가격 차이를 고려하여 거래소에서 필요한 비트 코인을 계산해 보고 입금하는 것이 정확하겠지요.
2. 국내 거래소에서 BTC 구매
: 대부분 코인을 직접 원화로 구매할 수 없기 때문에 일단은 코인 구매를 위해 대표 코인인 비트 코인을 구매합니다(비트 코인에도 투자한다고 생각한다면 많이 사셔도 됩니다).
3. 해외 거래소 가입
: 마스터노드 온라인 사이트를 참고하여 구매하려는 마스터노드 코인을 판매하는 해외 거래소에 가입합니다.
4. 해외 거래소 입금계좌 확인
: 해외 거래소의 코인 입금 계좌 확인을 확인합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내가 사려는 코인이 맞는지 꼭 확인하세요. 다른 코인 주소로 코인을 전송하면 사라질 수 있습니다.
5. 해외 거래소 입금계좌에 BTC 전송
: 국내 거래소에서 구매에 필요한 만큼의 BTC를 해외 거래소 계좌에 전송합니다.
이제 여기까지 왔습니다. 이제부터 실전입니다.
6. QT 개인지갑 설치
: 해당 코인 홈페이지에서 QT 개인지갑(Wallet)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7. QT 개인지갑 블럭체인 데이터 Sync
: 개인지갑을 실행하고 블록체인 데이터 Sync 작업을 수행합니다(실행 상태 그냥 두면 됨).
8. QT 개인지갑에 대표 입금 주소 및 마스터노드용 주소 추가
: 개인지갑에 대표 입금 주소와 마스터노드용 주소를 생성합니다.
9. 해외 거래소에서 코인 구매
: 마스터노드 서버 구축에 필요한 만큼만 코인 구매합니다(수수료를 위하여 약간의 여유를 둠).
10. QT 개인지갑에 코인 전송
: 해외 거래소에서 구매한 코인을 QT 개인지갑 대표 입금 주소로 전송합니다.
11. 필요 코인을 마스터노드 주소로 전송
: 개인지갑 대표 입금 주소에서 마스터노드용 주소로 전송합니다.
12. 마스터노드 설정 정보 생성
: masternode Private Key와 Transaction ID / Index 생성합니다.
QT 개인지갑에서 masternode genkey, masternode outputs 명령 수행하면 됩니다.
13. 개인지갑 설정
: QT 개인지갑에 몇 가지 설정을 해야 합니다.
14. 가상 서버 임대
: 서버 설치를 위하여 가상 서버를 임대합니다.
15. 마스터노드 서버 설치
: 가상 임대 서버에 마스터노드 서버를 설치합니다.
16. 서버 환경설정
: 마스터노드 서버 환경 설정을 수행합니다.
17. 마스터노드 서버 시작
: 마스터노드 서버를 시작해 줍니다.
18. 서버 상태 확인
: 마스터노드 서버가 정상 수행 중인지 확인합니다.
QT 개인지갑 설치
QT 개인지갑을 설치해 봅니다. 설치 프로그램인 경우는 설치 과정이 표시될 것이고, 압축 파일인 경우(예: desire-0.12.2.2-win64.zip)는 원하는 위치에 압축을 풀고 실행합니다. 실행 파일이 여러 개인 경우도 있는데 그 경우는 코인명-qt.exe라는 이름(예: desire-qt.exe)으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데이터를 저장할 폴더 위치를 지정하도록 표시되는데 가능하면 기본 값을 사용하지 말고 저장할 폴더를 직접 지정하시기 바랍니다. 그렇게 해야 나중에 관리 및 백업이 용이합니다. 폴더 지정이 끝나면 QT 개인지갑 프로그램의 설치는 끝났습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된 후 개인지갑 프로그램은 이미 이전에 다른 사람이 설치한 마스터노드 들을 찾아서 필요한 블럭체인 정보를 받아오게 됩니다.
이 과정이 중요합니다. 이 과정이 끝나야 다음 과정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가끔씩 블럭체인 정보 Sync가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는 직접 다른 마스터노드 정보를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QT 개인지갑 프로그램의 맨 아래 우측 끝을 보면 현재 연결되어 있는 노드 상태가 표시되는데 이 값이 0인 경우 Sync가 되지 않습니다. 그런 경우 마스터노드 온라인 사이트나 해당 코인의 Discord 사이트에서 노드 정보를 알아내어 코인 설정 파일에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QT 개인지갑 블럭체인 데이터 Sync
[DSR masternode explorer] 링크를 클릭하여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페이지는 선택한 코인에 대한 노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곳인데 여기서 노드 목록을 가져오면 됩니다.
[Show DSR addnodes]를 클릭하면 전체 마스터노드 정보를 복사할 수 있습니다.
[Copy addnodes to clipboard]를 클릭하여 노드 목록을 복사해 옵니다. 그리고 QT 개인지갑의 메뉴 중에서 [Tools]-[Open Wallet Configuration File] 메뉴를 실행합니다.
메모장으로 파일을 열고 복사해 온 내용을 붙여 넣습니다. 그리고 파일을 저장하고 메모장을 닫습니다. QT 개인지갑 프로그램을 종료 후 다시 실행합니다. 약간의 사간이 지나면 노드들을 하나씩 확인 후 연결이 가능한 노드가 있으면 Sync를 시작합니다. 이 작업은 코인에 따라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습니다. 끈기 있게 기다리세요.
위에서 확인한 DSR masternode explorer 페이지에 보면 현재 블럭 정보 카운트가 표시됩니다(DSR의 경우는 287,182이네요). 이게 다 Sync되어야 합니다. Sync 상태는 QT 개인지갑 프로그램의 [Tool]-[information] 메뉴를 클릭하면 current number of blocks 항목에 표시됩니다.
다음 게시물에서는 QT 개인지갑 설정 방법을 알아볼게요.
'마스터노드 구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8.마스터노드 코인을 개인지갑에 전송하기 (0) | 2020.11.29 |
---|---|
7.QT 개인지갑 설정하기 (0) | 2020.11.29 |
5.코인을 구매하는 방법은? (1) | 2020.11.29 |
4.마스터노드 온라인 사이트 이용 (0) | 2020.11.29 |
3.가상화폐(코인)는 어디서 사야 하나? (0) | 2020.11.29 |
최근댓글